본문 바로가기
관광명소

한국 최초 근대 서양식 공원 인천 자유공원 맥아더 동상

by 트립로향 2023. 1. 31.

맥아더 장군 동상이 있는 인천 자유공원은 한국 최초의 근대식 서양식 공원으로 인천을 대표하는 공원입니다. 자유공원은 인천 시민의 휴식 공간이며 힐링장소로 인천의 명소입니다. 인천은 한국에 서양문물이 가장 먼저 들어온 곳이며 한국 근현대사적 역사현장이 많이 있는 곳입니다.

 

한국 최초 근대 서양식 공원 인천 자유공원

인천 자유공원은 해발 69m가량 되는 응봉산 남쪽에 조성된 공원으로 구한말 개항초기인 1888년 공원 주변에 거주하는 서양인의 휴식공간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인천 자유공원은 독립문, 중명전등의 설계에 관여한 러시아 출신 건축기사 사바틴이 설계한 공원으로 탑골공원보다 9년 앞선  한국 최초 근대식 서양식 공원입니다.

 

인천 자유공원에는 근현대사적으로 가치가 있는 맥아더 장군 동상, 한미수교 100주년 기념탑, 충혼탑등이 있으며 한국 전통형식의 건물인 연오정과 석정루가 있습니다.

 

자유공원-안내-표지석-사진
자유공원 안내 표지석

 

 

인천 자유공원 이름 변천사

  • 각국공원 ~ 인천에는 외국인들이 거주하던 각국 조계지가 있었으며  조계지에 거주하고 있는 각국 외국인을 위해 1888년 공원을 조성하였으며 이름도 각국공원 혹은 만국공원이라고도 불렀습니다.
  • 서공원 ~  1910년 한일병합 이후 일본의 세력이 커지면서 1914년 각국 조계지를 철폐하고 이름도 서공원이라고 불렀습니다. 공원의 동편에 일본 신사가 있는 동공원이 있어 서쪽에 있는 공원이라 해서 서공원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 만국공원 ~ 1945년 해방 후 만국공원으로 불렸습니다.
  • 자유공원 ~ 1957.10.3일 개천절에 맥아더 장군 동상이 세워졌으며 이때부터 자유공원이라고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인천 자유공원 한국 근대사 역사 현장  맥아더 장군 동상

1. 맥아더 장군 동상 

1950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을 성공적으로 지휘한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공을 기리기 위해 인천 시민들이 성금을 모아 맥아더 장군의 동상을 만들었습니다.

 

맥아더-장군-동상-사진
맥아더 장군 동상

 

 

그리고 1957년 10월 3일 개천절 날에 공원 남동쪽 인천항이 잘 보이는 위치에 맥아더 장군 동상을 세웠으며 공원이름도 자유공원이라고 변경했습니다.

 

맥아더-장군-동상-부조-사진
맥아더 장군 동상 부조

 

 

2. 한미수교 100주년 기념탑

한미수호 통상조약은 1882년 5월 22일 제물포(인천)에서 조선과 미국사이에 체결된 조약으로  서양국가와 맺은 최초의 수호통상조약입니다.

 

한미-수교-100주년-기념탑-사진
한미 수교 100주년 기념탑

 

 

100년이 지난 1982년 12월 14일 한미수교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기념탑을 세워 그 역사적 의미를 재 음미하고 향후 두나라 사이에 상호신뢰와 우호협력관계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기념탑을 세웠다고 하는군요.

 

한미-수교-100주년-기념탑-건립-취지-설명문
한미 수교 100주년 기념탑 건립 취지

 

3. 인천 학도 의용대 호국 기념탑

한국전쟁이 일어나고 인천상륙작전 성공으로 승전을 앞두고 있던 시기 의용대를 조직 강화하여 인천 치안유지에 힘쓰던 중 중공군 개입으로 나라가 위기에 처하자 남녀대원 3000여 명이 출정식을 갖고 마산으로 내려가

 

인천-학도-의용대-호국-기념탑-사진
인천 학도 의용대 호국 기념탑

 

1951년 1월 5일 해병대와 육군으로 자원입대하였습니다. 그 후 수많은 전투에서 많은 전사자와 부상자가 조국에 젊음을 바쳤습니다. 그들의 호국정신을 기리고 넋을 추모하고자 여기에 기념탑을 세웠습니다.

 

인천-학도-의용대-호국-기념탑-표지석-사진
인천 학도 의용대 호국 기념탑 표지석

 

 

4. 한성임시정부 수립 결의 장소

인천자유공원은 우리나라 근현대사에도 의미가 있는 곳입니다. 한성 임시정부 수립이 결의된 곳으로 3·1일 운동 후 1919년 4월 2일  전국의 13도 대표자들이 자유공원에 집결하여 한성임시정부 수립을 결의하였습니다.

 

한성-임시정부-수립-결의-장소-표지석-사진
한성 임시정부 수립 결의 장소 표지석

 

 

인천 자유공원 한국전통양식 정자

 

·인천 자유공원 석정루(石汀樓)

팔각지붕을 하고 있는 석정루는 우리나라 전통양식의 정자입니다. 석정루에 오르면 인천항과 인천 중구 시가지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으며 

 

인천-자유공원-석정루-사진
인천 자유공원 석정루

 

특히 해질 무렵에 석양 노을이 아름다워 많은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있는 곳이라고 합니다.

 

해질-무렵-인천항-사진
해질 무렵 인천항

 

 

·인천 자유공원 연오정(然吾亭)

연오(然吾)는 강화도 출신 조용묵의 아호로 다른 이름은 조훈이라고 하며 항일 투쟁을 한 애국지사라고 합니다. 1959년 임종 후 부친의 유지를 받들어 아들 형제가 1960년 8월 22일 정자를 건립했습니다.

 

정자 현판 연오정(然吾亭) 글씨는 인천이 낳은 당대 최고의 서예가 검여 유희강 선생이 1960년 8월 15일 광복절에 쓴 것이라고 합니다.  당시에는 연오정 위치가 바다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멋진 장소였다고 하는군요.

 

인천-자유공원-연오정-사진
인천 자유공원 연오정

 

 

※인천 자유공원 가는 방법과 연계 관광지

인천 자유공원은 봄철 벚꽃구경을 하기 위해 많은 인파들이 모이는 곳이며 서쪽에는 차이나타운이 있으며 북쪽에는 송월동 동화마을이 있어 서로 연계해서 관광할 수 있는 인천 명소 베스트 10으로 선정된 핫플레이스입니다.

 

인천은 한국에 최초 서양문물이 들어온 곳으로 제물포구락부, 인천 개항박물관등 구한말 세워진 각종 건축물들이 많이 있는 곳입니다.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수인분당선을 타고 인천역에서 내려 인천 차이나타운을 구경하시면서 언덕길을 올라가면 바로 뒤쪽이 인천 자유공원입니다.

댓글